728x90
300x250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생에서 굉장히 유용한

자격증 정보글로 찾아왔습니다!

요즘 성수기 시즌이잖아요?

이런 시즌에 자격증 한두 개씩 따서

자신의 스펙을 올리는 게 좋다고 생각해서

여러분들께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저도 어릴 때 자격증을 많이 따두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서

여러 가지 자격증을 따뒀답니다.

그래서 오늘 제가 소개할 자격증은!

Speciality Coffee Association

줄여서 SCA라고 부르는

국제 커피 협회의 자격증에 대해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Speciality Coffee Association

SCA 협회

가볍게 소개를 드리면

국제적으로 가장 공신력이 높은 커피 협회

라고 얘기를 드릴 수 있어요.

가장 전통적이면서 70여 개국에서

통용이 되고 있기도 하고

국제 자격증인 덕분에

국내에서는 당연히 알아주지만

국외에서도 인정을 해준답니다.

국내와 국제의 차이는

바리스타는 원래 국가 자격증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부 민간 협회에서

발급을 해주게 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바리스타 1급, 2급

이렇게 나누어져 있고

유효기간도 있는데 공신력도 떨어집니다.

왜 공신력이 떨어질까요?

바로 이 국내 협회는 그냥 4명~5명 이상이

모여있어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나라만 해도 이름만 비슷한

엄청나게 많은 협회들이 있는데

 

배우는 수준도 전부 제각각이기 때문에

사실상 알아주지 않는다고 봐야 합니다.

 

이제 SCA 자격증의 과정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생두의 이해와 관련된

그린빈

생두의 크기와 품종,

수입과 현물거래에 필요한 서류들과

계산법 등을 다룹니다.

커피 머신에 대해 배우는

바리스타 스킬

에스프레소 추출부터 시작해서 맛 표현

우유 성분과 특성, 변수, 라떼아트 등

카페에서 배우는 기술들에 대해서

다루는 것이 바리스타 스킬입니다.

맛과 향에 대해서 표현하는

센서리

커피의 맛과 향을 말로 표현을 할 수 있는

그런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예를 들어서 카페에 가서

커피에 대해서 궁금해서 물어봤을 때

어떤 원두를 써서 어떤 맛이 나고

향은 어떻다 표현을 해주는 게 훨씬 좋겠죠?

생두를 볶아 원두를 만드는

로스팅

로스팅기의 이해부터 열의 이해

생두의 터닝포인트와 향미

그리고 커피의 향, 대륙별로 로스팅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콜드브루나 핸드드립을 하는

브루잉

기초부터 시작해서 맛의 비교

추출 방식에 따른 차이, 변수 조절

균형 잡힌 추출 등

다양한 브루잉 기술을 다룹니다.

이렇게

총 5가지 과정이 있습니다.

특징이 있다면 SCA는

이걸 통틀어 다 배우는 게 아닌

각 과정마다 레벨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Lv. 1은 Foundation

Lv. 2는 Intermediate

Lv. 3는 Professional

각각 5점, 10점, 25점 순이고

위 자격증들의 점수를 합쳐서

100점을 채우게 되면

SCA 디플로마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

굳이 디플로마가 아니어도

필요한 과정만 쏙쏙 배워서 취득이 가능하니

필요한 과정만 잘 알아보시는 게 좋겠죠?

제가 가져온 정보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SCA와 관련된 정보가 더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찾아봐주세요!

>> SCA 바리스타 자격증 더 많은 정보 <<

728x90
300x250

+ Recent posts